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선후보 3번이 없는 이유?

by 하울4 2025. 5. 19.
반응형

2025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많은 유권자들이 투표용지를 받아들고 의아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1번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후보 기호 중, 기호 3번이 공란으로 비워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왜 3번 후보가 없지?", "실수로 빠진 건가?"라는 질문이 인터넷과 SNS를 통해 빠르게 퍼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이유와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호는 어떻게 정해질까?

우리나라의 대통령선거에서 후보자 기호는 임의로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공직선거법 제87조에 따라, 정당 소속 후보자에게는 국회에 이미 진출해 있는 원내 정당의 의석수에 따라 기호가 배정됩니다.

예를 들어, 제1당이 민주당이라면 해당 정당의 후보는 자동으로 기호 1번이 되며, 제2당이 국민의힘이라면 2번을 받게 됩니다. 제3당 역시 마찬가지로 기호 3번이 부여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책.공약마당

 

기호 3번의 주인, 후보를 내지 않았다?

이번 대선에서 기호 3번의 주인공이 될 뻔한 정당은 ‘조국혁신당’이었습니다. 국회 의석 기준으로 제3당이었던 이 정당은 대통령 후보를 내지 않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기호 3번은 공란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는 법적으로도 자연스럽게 처리됩니다. 특정 기호에 해당하는 정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해당 기호는 비워진 채로 투표용지에 인쇄됩니다.

 

투표용지엔 어떤 변화가?

실제로 인쇄된 투표용지를 보면 기호 1번, 2번 다음에 3번이 비워지고, 4번부터 다시 후보가 등장합니다. 기호 순번이 끊겨 있어, 사전 정보 없이 투표소를 찾은 유권자들은 잠시 혼란을 겪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선거법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행된 절차이며, 정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대선후보자 공약 비교 바로가기

조국혁신당의 전략적 판단?

정당이 대선 후보를 내지 않는 결정은 단순한 후보 부재가 아니라, 정치적 전략과 자원의 분배, 지지율 분석 등 다양한 판단을 기반으로 한 선택입니다.

조국혁신당도 향후 총선 또는 지방선거를 대비해 대선 참여를 전략적으로 포기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후 정치적 행보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유권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기호 결번은 유권자의 투표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기호를 기준으로 후보를 기억하는 유권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40~60대 이상 유권자들의 경우, 후보 이름보다는 기호 중심으로 투표하는 경향이 있어 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이번 기호 3번 결번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정치적 전략과 제도적 배경이 맞물린 결과였습니다. 유권자들이 보다 깊이 있는 정치 참여를 위해 이런 사례들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선은 단 하루지만, 그 결과는 향후 5년간의 대한민국을 좌우합니다. 한 표, 신중히 행사하세요.

 

반응형